서로 어필하기
개발자가 궁금해하는 대표적인 질문
기디팀에서 어떤걸 준비해야 할지?
A. 과정보여주기
팀 노션
팀 노션을 화면 공유 →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있는지 공유
기디팀들이 기록한 사진이나 활동들 보여주기
팀 내의 룰을 소개하기
개발자를 찾는 초청 컨셉 페이지를 보여주기
놀계획을 팀별로 짜서 보여주었음.
피그마
→ 기능적인 면 소통
→ 어떤 컨셉인지, 어떤 컬러를 사용하는지, 레퍼런스를 보여주는 방식
Google sheet 또는 노션 활용한 기능명세서
B. 오카방 공지 미리 꼭 하기
다른 팀 운영방식 (레퍼런스)
A. 다양한 이벤트
벨런스게임
B. 모든 타임을 다 운영하지 않는 팀도 존재
C. 개발자가 오지 않으면 직접 찾아나서기
돌아다니면서 직접 홍보하기
각 앱잼 팀별로 부스운영으로 주어지는 1~3타임의 45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자율적으로 정해서 금요일 자정까지 기획파트장 권상호에게 갠톡으로 전달해주세요!
PM과 개발자의 1:1 네트워킹 하는 시간에 다른 개발자들이 줄을 서고 기다리는 상황이 생김. 이때 디자이너나 Ti가 나서서 네트워킹을 같이 진행해주면 훨씬 효율적인 네트워킹이 가능 → 기능에 대해 설명할 것들 준비해놓기
A시드는 주로 능력있는 개발자들이 오기 때문에, 도전적인 기능에 대한 구현이 있는지 물어보는 개발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어떤 기능이 도전적인 기능인지 기디에서 미리 준비해놓는것도 좋은 방법
기획적으로 시도하고 싶었지만 오늘 미처 준비하거나 말하지 못한 기능들이 있나요? 라고 질문 하시는 분들도 종종 있었습니당 (이희원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