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 궁금하면 링크 ㄱㄱ
시나리오 전 가정을 세웁니다.
21:00 ⇒ 날짜에 해당하는 물주기 알림(push)를 보냅니다.
23:00 ⇒ 날짜에 해당하는 연락 후기 작성 알림(push)를 보냅니다.
왜 이렇게 하는지 한계로 ㄱㄱ
유저는 **식물 등록하기
**를 하면 물줄 날짜(water_date)에 해당하는 APP_PUSH 알림 정보가 APP_PUSH_USER 테이블에 저장합니다. (테이블 링크)
⇒ 21:00에 APP_PUSH_USER에서 send_yn이 n이고, send_code가 COM
(COMMUNICATION)에 해당하는 유저에게 일괄 push 전송!
푸시 메시지를 누르면 연락 후기를 위한 정보가 APP_PUSH_USER 테이블에 저장됩니다.
⇒ 23:00에 APP_PUSH_USER에서 send_yn이 n이고, send_code가 REV
(REVIEW)에 해당하는 유저에게 일괄 push 전송!
푸시 메시지는 스케줄링(node-schedule)을 통해 매일 21:00와 23:00에 적용되게 할 예정입니다.
권이 화이팅
왜 이게 힘드냐 딱알려줌
원래 스케줄링이 없을 땐 메시지 박스 같은 곳에 모든 푸시알림을 넣어놨어야 했음!